본문 바로가기
후기/생활정보

꽃가루 알레르기, 꽃 탓이 아니다?

by 윤쏘룽 2023. 5. 8.
반응형

출처 : pixabay

"봄만 되면 되풀이되는 고통”
꽃가루 알레르기는 꽃 자체가 아닌 꽃에서 발생하는 꽃가루를 통해 발생하는 알레르기입니다. 따라서 꽃 자체가 아니라 꽃의 꽃가루를 많이 내뿜는 계절이나 꽃이 있는 환경에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꽃가루 알레르기는 꽃 뿐만 아니라 나무, 잡초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같은 꽃가루라도 모든 사람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꽃 탓이 아니라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이며, 개인의 체질에 따라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나무는 봄에 싹이 돋고, 꽃가루를 많이 내뿜는 계절에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특히, 자작나무, 소나무, 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소나무과, 느티나무, 백일홍, 오동나무, 자귀나무 등의 느티나무과, 그리고 자작모과, 사과나무, 배나무, 복숭아나무 등의 장미과 등에서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나무 꽃가루 역시 알레르기 원인 중 하나이며, 나무가 있는 환경에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나무 탓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증상
코막힘: 콧속이 막혀서 숨쉬기가 어려워집니다.
재채기: 코가 따갑게 간지럽거나 자극을 받아서 재채기를 하게 됩니다.
비강 붓기: 코의 내부조직이 부어오르면서 코가 붓고, 간혹 점액이 분비됩니다.
눈 가려움증: 눈이 가려워지거나 따갑게 간지러워집니다.
눈부심: 눈이 따갑고 시립니다.
기침: 목에 걸린 꽃가루가 기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로감: 알레르기 반응이 지속될 경우, 체내 염증 반응이 일어나서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꽃가루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
알레르기 약 복용: 항히스타민제나 면역억제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코 스프레이 사용: 코 스프레이를 이용해 코막힘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눈알 약물 사용: 눈 가려움증이나 붓기 등을 완화시키기 위해 눈알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 꽃가루가 많은 실외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실내 청소: 집 안에서 꽃가루나 먼지 등을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외 활동 시기 조절: 꽃가루가 많은 시간대나 날씨에 실외 활동을 피하거나 시기를 조절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접촉 피하기: 알레르기 원인인 꽃가루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샤워를 하거나 옷을 갈아입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어떤 방법을 시도하더라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화되는 경우에는 알러지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알레르기약이나 코스테로이드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알레르기 원인인 꽃가루와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거나 실내에 머무는 등의 대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